Book Memo/20092009. 3. 30. 12:23

지식정보화 사회가 되면서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단어가 융합(Convergence)일 것이다. 막연하게 다른 분야의 지식이 서로 섞이는 개념으로만 알고 있거나 최근 많이 등장하는 디지털융합 분야를 전부인 양 오해한 듯하다. 다양한 분야의 인문학과 과학이 어떤 시대적 과정을 거쳐 융합의 개념이 형성이 되고 발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일반인들을 위해 잘 정리해 놓은 책이다. 

기간 : 2009.3.26.~3.31.
지식의 대융합 - 10점
이인식 지음/고즈윈

*** 목 차 ***
프롤로그 - 망망대해에 한 점 조각배를 타고

1부 마음의 연구와 지식 융합
1장 인지과학
1. 인지과학의 뿌리
2. 인공지능의 역사
3. 인지과학의 본질
2장 시각의 계산이론
1. 데이비드 마의 계산이론
2. 시지각 이론 논쟁
3장 인공지능 논쟁
1. 튜링의 모방게임
2. 컴퓨터가 할 수 없는 것
3. 괴델, 에셔, 바흐
4. 중국어 방
5. 해석학과 인공지능
6. 황제의 새 마음
7. 중국어 체육관
4장 인지과학과 융합학문
1. 인지인문학
2. 행동경제학

2부 뇌 과학과 신생 학문
1장 신경과학
1. 신경계와 뇌
2. 뇌 지도와 의학 영상
3. 인지신경과학
4. 정서신경과학
2장 의식의 과학
1. 의식의 신경과학적 근거
2. 의식과 양자역학
3장 뇌 연구와 인문학의 융합
1. 사회신경과학
2. 신경경제학
3. 신경신학
4장 뇌 연구와 과학기술의 융합
1. 계산신경과학
2. 신경공학
3. 신경윤리

3부 진화론과 지식 융합
1장 자연선택과 지식 융합
1. 자연선택이론
2. 진화심리학
3. 진화경제학
4. 다윈의학
2장 성적 선택과 지식 융합
1. 성적 선택 이론
2. 짝짓기 심리학
3장 과학과 종교
1. 진화론과 창조론
2. 무신론과 종교

4부 비선형세계의 신생 학문
1장 카오스와 프랙탈
1. 카오스 이론
2. 프랙탈 기하학
2장 복잡성 과학과 융합 학문
1. 복잡성 과학
2. 네트워크 과학
3. 복잡계 경제학
3장 인공생명
1. 세포자동자
2. 인공생명
4장 창발지능
1. 집단지능
2. 떼지능

5부 21세기의 기술융합
1장 정보기술
1. 디지털 기술과 정보사회
2. 웹2.0의 경제학
3. 정보기술과 융합기술
2장 생명공학기술
1. 생명공학기술의 미래
2. 본성 대 양육
3. 생명 윤리
4. 생명공학과 과학기술의 융합
5. 유전학과 융합학문
3장 나노기술
1. 나노기술의 가능성
2. 나노기술과 생명공학기술의 융합
4장 로봇공학
1. 미래의 로봇
2. 사람과 로봇
5장 환경과 에너지
1. 21세기의 환경재앙
2. 지구를 살리는 방안
3. 환경윤리와 환경주의
4. 환경과 경제학
6장 바이오닉스
1. 사이보그 사회
2. 포스트휴먼 시대

지식 융합 도표
에필로그 - 지식 융합의 세 번째 물결
찾아보기(사람 이름) / 찾아보기(일반 용어) / 찾아보기(문헌 제목)
지은이의 주요 저술 활동

Posted by izzy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