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을 TV에서 떠나게 하는 전략처럼
'이제 TV를 그만보고 나가 노는 것이 좋겠다. TV가 그렇게 보고 싶다면 선택해라. 30분만 더 TV보고 나가서 놀래? 아니면 지금 나가서 놀고 점심 먹기 전에 한 시간 동안 TV볼래?' - p.48
당신도 '성공했지만 불행한 사람들의 7가지 습관'에 길들여졌는가 - p.204
1. 너는 너희 아빠/엄마처럼 살고 싶니?
2. 너희 엄마/아빠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시는 것 같니?
3. 엄마/아빠는 너희들과 함께 계실때 정말 즐거워하시는 것 같니? 일하는 것보다 너희들과 함께 있는 것을 더 좋아하시는 것 같아?
4. 엄마/아빠는 너희들의 현재 있는 그대로의 모습에 만족해하시는 것 같니?
5. 너희 엄마/아빠가 공부 말고 너희들에 대해 정말로 관심 가져주시는 것 같니? 어떤 것에 관심을 가져주시지?
6. 너희 엄마/아빠가 서로 사랑하는 것 같니? 엄마/아빠가 서로 사랑하는 것을 어떻게 표현하시는데?
인내는 잘못된 것이다 - p.265
한 해가 새롭게 시작되면 사람들은 모두들 새해의 목표를 세운다. '담배를 끊겠다'부터 시작해서 '영어회화에 본격 투자하겠다'까지 목표는 다양하지만 목표를 세우는 양상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지난해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해에 대한 다짐이다. 하지만 새로운 한 해에도 모두들 환경의 고난을 자처하고, 그것을 이겨내야 하는 '인내'와 자기 자신과의 투쟁을 전제로 하는 '극기'로 일관한다.
행복하고, 재미있게 살겠다고 목표를 세우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인내와 극기의 내용은 해를 거듭할수록 구체적이고 현실적이지만 '인내'와 '극기'의 결과로 찾아오는 행복은 갈수록 추상적이다......행복할 생각부터 명확히 해야 인내할 수 있고 목표를 이룰 수 있다. 도대체 무엇을 위한 인내인가를 분명히 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목표를 분명히 해야 한다. 우리는 그저 참고 견디다 보면 행복해지는 것이 절대 아니다. 행복할 생각을 명확히 해야 참고 견딜 수 있는 것이다.
능력있는 사람이 하루아침에 멍청해지는 이유_'피터의 원리' - p.273
언제나 그렇듯이 조직에서 유능하다고 평가를 받는 사람들에게만 지속적으로 일이 몰리게 되어 있다. 그들이 맡겨진 일들을 성공적으로 해낼수록 승진을 거듭하며, 보다 중요한 역할을 부여받게 된다. 그러나 영원히 이런 성공과 승진이 계속되는 것은 아니다. 어느 일정 수준에 올라서면서부터 이들에게는 자신이 차마 감당할 수 없는 일들이 부여된다. 주위에 계속되는 기대에 부응하고, 자신의 직책에 맞는 책임을 다하기 위해 발버둥치지만 이미 시간은 늦었다. 자신의 역량에 비해 주어진 과제의 도전은 너무 벅차다. 그 순간부터 그는 자신감을 상실하고, 두려움에 젖게 된다. 물론 유능하다는 주위의 평가는 한 순간에 사라진다. 사람들의 평가는 언제나 그렇듯이 한 칼로 끝나 버린다.
밸런스 경영의 세 가지 차원 - p.285
1. 일과 가족의 균형 관계
2. 일과 여가의 균형 관계
3. 회사 성장과 개인 성장의 균형 관계
기간 : 2009.6.24.~6.30.
노는 만큼 성공한다 - 김정운 지음/21세기북스(북이십일) |
*** 목 차 ***
프롤로그 - 일에 빠져 있을 때 머리는 가장 무능해진다
서장 한국, 놀 줄 몰라 망할지도 모른다
너무 많이 논다고?
주5일 시대, 노는 시간을 경영하라
1부 나는 놈 위에 노는 놈 있다
Chapter 1 일의 반대말은 여가가 아니라 나태
인센티브 위에 자존심 있다
일 중독에 빠진 리더의 착각 - 오버씽킹
노는 것을 학문적으로(?) 연구한 사람들
Chapter 2 놀이는 창의성과 동의어
창의성의 원천은 '낯설게 하기'
다빈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나온 모나리자
놀아본 사람만이 창의적일 수 있는 이유
창밖을 멍하게 보는 시간이 가장 창의적인 두뇌
아마도...와 혹시? - 창의적 사고의 방법
Chapter 3 놀이는 최고의 의사소통 훈련
'무슨 배트맨이 이래?' - 가상놀이 as if
전 세계 엄마들의 말투가 똑같은 이유
잘 노는 사람의 특별한 능력 - 정서공유의 리츄얼
놀이가 곧 의사소통이다
휴테크 - 사소한 재미에 목숨 걸자
2부 삶을 축제로 만들자
Chapter 4 즐겁지 않으면 성공이 아니다
성공했는데 왜 외로워질까?
'성공했지만 불행한 사람들'의 7가지 습관
갑작스러운 우울과 무기력 - 심리적 에너지의 고갈
감정적으로 경영하라!
에스키모의 막대기를 꽂자!
Chapter 5 밸런스 경영 - 일과 삶의 조화
혼자 중얼거리는 일이 부쩍 늘었다면...
'중요한 일'과 '안 중요한 일' 바꾸기 - '게슈탈트' 원리
축제를 통해 우리는 삶의 주인이 된다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는 가짜!
휴가 규정대로 다 쓰십니까?
21세기 경영패러다임-밸런스 경영
에필로그 - 그러는 당신은 어떻게 노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