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Memo/20132013. 4. 16. 22:42

김미경 파랑새 강연때부터 잘 챙겨보고 있다. 아직 김미경쇼는 보지 못했지만, 이번 책은 기존에 비해, 현장의 강연에 비해 좀 매끄럽지 않은 것 같다. 다시 강연을 챙겨봐야겠다.


기간 : 2013.4.

김미경의 드림 온(Dream On) - 6점
김미경 지음/쌤앤파커스

*** 목 차 ***

시작하며 _ 꿈의 스위치를 누르는 순간, 진리의 빛이 당신을 자유롭게 하리라 

Part 1. 차라리 꿈을 버려라 

어쩌다 꿈이 ‘밀린 숙제’가 되었을까? 

넘쳐나는 꿈들 사이에서 우리는 왜 지독한 소외감에 시달릴까? | 뜨겁게 살아갈 이유 없이 이게 행복이라고 우길 텐가? | 20대까지는 꿈을 못 찾는 게 정상이다 | 좋아하지 않는 일을 확인하는 데 고스란히 바친 20대 | 인생에서 풀어야 할 가장 어려운 숙제, 나에 대한 성찰 | 공부를 잘하면 꿈 찾기가 더 어렵다 

처음부터 가슴 뛰는 꿈은 없다 
꿈을 이룬 사람들도 고통 반 행복 반이다 | 다만 가슴이 뛸 때까지 일하는 것이다 | 열정은 성실함을 먹고 자란다 | 어설픈 시도를 함부로 ‘도전’이라 부르지 마라 | 헐값에 사고팔거나 함부로 집적대지 마라 | 작은 단서에 휩쓸린 사람은 끝까지 견디지 못한다 | 지금 어설프게 꿈꾸는 자, 모두 유죄 

꿈의 멘토는 없다, 너 자신이 멘토다 
꿈과 멘토는 세트 메뉴? 멘토는 꿈의 과외 선생? | 나다운 꿈이 아니면 평생 ‘짝퉁’ 소리만 듣는다 | 내 힘으로 0.1cm 자라는 것과 남의 도움으로 1m 점프하는 것 

꿈은 성공이 아니라 성장의 언어다 
'꿈=성공’이라면 현재는 언제나 미래의 희생양이다 | 꿈은 성취가 아니라 성찰이고 성공이 아니라 성장이다 

꿈과의 동행, 나를 사랑하는 최고의 방법이다 
사랑과 닮은 폭풍 같은 열정 | 나의 값어치는 세상이 아니라 내가 정한다 | 사랑 없이는 살아도 꿈 없이는 못 산다 

Part 2. 꿈을 만드는 기술, 드림 테크놀로지

꿈은 오직 ‘나다움’이다 

꿈은 방향성과 맞닿아야 가장 건강하게 진화한다 | 꿈은 ‘나다움’이라는 자기만의 그림을 완성해가는 일 | 결핍, 실행력, 역량, 가치관이라는 꿈의 재료 

당신의 드림에이지는 몇 살인가? 
나이가 어려도 꿈나이가 많으면 어른이다 | 나다움을 놓지 않고 데이터를 쌓다 보면 꿈은 자동으로 진화한다 | 처음부터 클 필요는 없다 큰 꿈이 될 때까지 키워가라 

드림리소스1 결핍 - 결핍이 밥이다. 결핍을 찾아라 
나를 포기할 것인가, 살릴 것인가 | 절실함과 몰입도는 고난의 강도에 비례한다 | 못 가진 자일수록 꿈을 먹일 밥은 풍족하다 | 오랫동안 나를 괴롭혔던 결핍이야말로 가장 소중한 꿈의 재료 

드림리소스2 실행력 - 새벽 4시 30분의 힘으로 기초체력을 키워라 
새벽 4시 30분의 힘 | 실행력은 자신감과 나다움을 검증하는 필수요소다 | 전략기획팀과 실행팀의 환상적인 팀플레이 | “몸으로 움직이지 않는 꿈은 자기위안용 환상일 뿐이죠.” | 꿈은 똑똑한 뇌가 아닌 성실한 두 발로 평생 키워가는 것 

드림리소스3 역량 -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재앙’이었던 재능이 꿈을 밀어붙이는 힘이 되다 | 노래 못하는 것과 공부 못하는 것은 다르다? | 서치라이트 형 재능의 멋진 콜라보레이션 | 좋아하는 것을 찾는 법 | 장기 레이스에 더 유리한 것은 재능보다 적성이다 | 싫어하는 일 30%까지도 참아낼 수 있나? 

드림리소스4 가치관 - 가장 나다운 것이 꿈의 나침반이다 
나만의 유니크한 꿈은 형용사로 결정된다 | 꿈의 형용사는 늘 변하는 게 정상이다 | 가장 나다운 진화란 무엇인가? | 인생의 ‘판례’가 많이 쌓여야 분별력과 가치관이 성장한다 

Part 3. 꿈을 이루는 일곱 가지 법칙

Rule #1 무명 시절도 경력이다 

“10년 무명이면 10년 가고 20년 무명이면 20년 간다.” | 무명의 히스토리가 고달플수록 현재는 더 찬란하다 | 중요한 것은 나에 대한 자부심을 잃지 않는 것 

Rule #2 테크닉을 본능에 저장하라 
기술이 내 본능에 저장되는 시간, 15년의 법칙 | 10번 중 8번은 실패하는 게 당연하다 | 1,000개의 실패를 빨리 꺼내 써라 | 테크닉을 연마하다 보면 세상을 보는 눈도 깊어진다 

Rule #3 부모를 울려라 
부모의 콤플렉스를 자식에게 물려주지 마라 | 결국 나를 책임져야 하는 사람은 부모가 아니라 나다 | 꿈의 훼방꾼, 부모를 울려라! 

Rule #4 급할 때는 돈에서 먼저 배워라 
돈을 뚫고 나온 꿈이야말로 가장 쓸 만한 꿈이다 | 30년 이상 나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돈이 최고다 | 돈도 꿈만큼이나 훌륭한 스승이다 

Rule #5 내 꿈의 지분을 100% 가져라 
정신적인 독립은 경제적인 독립 위에서만 가능하다 | 내 꿈의 영원한 스폰서는 오직 나다 | 내 꿈의 주주는 100% 내가 되어야 한다 

Rule #6 일터를 꿈터로 만들어라 
대체 뭐가 그렇게 억울한가? | 사장처럼 일해보지 않았다면 밖에서도 사장이 될 수 없다 | 회사는 생각보다 훌륭한 학교다 

Rule #7 나답지 않은 속도와 방향을 거절하라 
지금이 아니라 한 단계 미래에서 나를 볼 수 있는 힘 | 메뚜기는 한철, 인생의 기회는 세 번뿐이라고? | 내가 내 꿈을 믿어야 꿈도 나를 평생 동안 존중해준다

Part 4. 드림워커가 되어 인생의 절정을 살아라

첫 번째 일터는 중요하지 않다 

활을 잘 쏘는 방법은 많이 쏴보고 많이 실패해보는 것뿐 | 필수적인 단계를 건너뛰지 마라 | 지금 있는 그곳에서 최선을 다해 나답게 꿈을 진화시켜라

떠나야 할 타이밍을 정하라 
사춘기 아이들이 가출하듯 제2의 사춘기 어른들도 회사를 그만둔다 | 자꾸 옮겨 심다 보면 어디에도 뿌리내리지 못한다 | 성장을 위해 지금 나는 어떤 변화를 시도할 것인가? | 내 꿈의 카테고리를 확인할 수 있는 세 가지 질문 

여자의 꿈은 더욱 소중하다
꿈이냐 자식이냐 | 기울어진 채로 지속가능하다면, 그것도 밸런스다 | 내 꿈을 키워야 내 자식의 꿈도 꿰뚫어볼 수 있다

부부는 서로의 꿈을 키워주는 부모다 
불공정거래로 시작하는 결혼은 하지 마라 | 꿈을 가진 여자는 버티는 게 정답이다 | 서로를 ‘내 평생의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는 부부

드림리스트를 업데이트하라
버킷리스트야말로 걷어 차버려야 할 것 | 꿈의 나침반이 될 드림리스트를 부지런히 업데이트하라 | 작은 목표들을 성실히 달성해온 사람들은 조급하지 않다

드림워커는 도전하고 성장할 때 치유된다
문제가 있으면 별과 대화를 해보라 | 미성숙한 사랑은 폭력, 미성숙한 사람은 폭탄이다

Part 5. 탁월함을 넘어 비범함으로, 세상에 진 빚을 갚아라

꿈의 길을 드림파트너와 함께 가라

우리 모두 인간관계에 미숙한 인간이라는 전제 | 나에게 깨달음을 주는 스승이 얼마나 많은가 | 바로 한 단계 윗사람을 멘토로 삼고 분야별로 스승을 두라 | 타고난 성품은 바꿀 수 없지만 인격은 얼마든지 성장시킬 수 있다 | 인간관계의 302법칙

내 꿈만이 아니라 주위 사람들의 꿈까지 책임져라
꿈은 지루하고 기나긴 다큐멘터리다 | 내 꿈과 남의 꿈까지 지켜주는 것이 진정한 어른의 꿈 

당신의 꿈 앞에 K를 붙여라
“이거 메이드 인 코리아야, 믿어도 돼!” | TED보다 10배 진하고 감동적인 한국인의 꿈과 정신 

세상에 진 빚을 갚아라 
꿈이 원대할수록 빚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 차면 넘치게 돼 있고 넘치면 더 많이 나눌 수 있다 | ‘가장 나다운 빚 갚기’를 고민해보라

마치며 _ 꿈만이 불평등한 현실을 뒤집을 수 있다

Posted by izzy1